상파울루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파울루 FC는 1930년 창단된 브라질의 축구 클럽으로, 상파울루주를 연고지로 한다. 클럽 색상은 빨강, 흰색, 검정이며, '삼색기'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브라질 전국 리그 6회,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3회, FIFA 클럽 월드컵 1회 우승을 포함하여 총 12번의 국제 대회를 제패하며 브라질 클럽 중 가장 많은 국제 대회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홈 구장은 이스타지우 시세루 폼페우 지 톨레두(모룸비 경기장)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파울루 FC - 루카스 모우라
루카스 모우라는 빠른 스피드와 드리블 능력을 지닌 브라질 축구 선수로, 윙어와 공격형 미드필더를 소화하며 상파울루 FC, 파리 생제르맹 FC, 토트넘 홋스퍼 FC를 거쳐 상파울루 FC로 복귀, 브라질 U-20 대표팀과 성인 대표팀에서 남미 U-20 선수권, 런던 올림픽,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우승을 경험했다. - 상파울루 FC - 체체
체체는 2006년 아우닥스 유소년팀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보타포구에서 활약하며, 여러 클럽을 거쳐 다수의 대회에서 우승했고,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올해의 팀 등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구단 - SE 파우메이라스
SE 파우메이라스는 1914년 이탈리아계 브라질인에 의해 창단된 브라질의 축구 클럽으로,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등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구단 - SC 코린치앙스 파울리스타
SC 코린치앙스 파울리스타는 1910년 상파울루 철도 노동자들이 창단한 브라질 축구 클럽으로, 브라질 세리에 A 7회 우승과 FIFA 클럽 월드컵 2회 우승 등 화려한 역사를 자랑하며 열정적인 팬덤과 주요 더비 매치로 브라질 축구의 중심 역할을 한다. - 1935년 설립된 축구단 -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1935년 아르헨티나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는 꾸준한 승격 끝에 2014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진출, 2020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와 2021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으로 국제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홈 경기장은 노르베르토 "티토" 토마젤로 스타디움이다. - 1935년 설립된 축구단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데포르티보 사프리사는 코스타리카 산호세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40회 우승, CONCACAF 챔피언스리그 3회 우승을 차지한 명문 클럽이며,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이마 경기장을 홈으로 사용하고 "보라색 괴물"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상파울루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상파울루 푸치보우 클루비 |
창립일 | 1930년 1월 25일 |
별칭 | 트리콜로르 파울리스타 (상파울루의 삼색) 오 클루비 다 페 (믿음의 클럽) 소베라누 (주권자) 캄페앙 지 투두 (모든 것의 챔피언) |
구단주 | 줄리우 카자레스 |
감독 | 루이스 수벨디아 |
홈 구장 | 모룸비 |
수용 인원 | 72,039명 |
웹사이트 | saopaulofc.net |
주요 정보 | |
리그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
현재 시즌 | 2024 상파울루 FC 시즌 |
2. 역사
아틀레치쿠 파울리스타 소속 축구 부문으로 1900년에 창설되어 1935년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상파울루 시내 모룸비에 위치한 모룸비 경기장 (Estádio do Morumbi)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약 8만 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다.
팀의 마스코트는 성 파울루(São Paulo)이며, 응원에도 자주 사용된다. 토요타컵(현 FIFA 클럽 월드컵)에서 세 차례 ( 1992년 - FC 바르셀로나전, 1993년 - AC 밀란전, 2005년 - 리버풀 FC전) 우승을 차지했다.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에서도 20회 이상 우승을 기록하는 등 브라질을 대표하는 축구 클럽 중 하나이다.
마크 상단의 붉은색 별은 FIFA 클럽 월드컵(2005) 및 인터컨티넨탈컵(1992, 1993) 우승을 기념하는 것이다. 노란색 별은 아데마르 다 실바가 헬싱키 올림픽(1952)과 멕시코에서 열린 범미주 경기 대회 육상 경기(1955)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것을 기념하는 것이다.
팬들은 ‘상 파울리누(São paulino)’라고 불린다.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축구 만화 『캡틴 츠바사』의 주인공인 대空翼이 처음 소속되었던 프로 팀으로도 알려져 있다.
1930년 1월 25일 CA 파울리스타누와 AA 다스 파우메이라스 선수들이 모여 상파울루 FC를 창단하였다. 1931년 주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11][12] 1933년 3월 12일 산투스 FC와의 친선 경기를 통해 프로화 이후 첫 공식 경기를 치렀다. 이후 재정 문제로 CR 치에테와 합병하였으나, 1935년 12월 16일 구단 창립자들이 뜻을 모아 재창단하였다.[15][16]
1940년 이스타지우 두 파카엠부가 개장하며 상파울루주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였다. 상파울루 FC는 1941년 주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듬해 포로사를 영입하고, 안토니오 사스트레, 노로냐, 바우에르 등을 영입하며 ''폭주 기관차''라는 새로운 별명을 얻었으며,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에서 1943년, 1945년, 1946년, 1948년, 1949년에 우승하였다.[58]
1950년대는 구단에게 밝은 시기는 아니었다. 상파울루 FC는 주 리그에서 1953년과 1957년 단 두 차례만 우승했다. 1952년 착공을 시작한 모룸비 경기장 건설로 인해 구단의 재정 상황은 악화되었다.[18][19] 1957년 우승은 지지뉴(Zizinho)와 헝가리 감독 벨라 구트만(Béla Guttmann)의 도움으로 이루어졌으며, 구트만은 4-2-4 포메이션을 브라질에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1960년에 모룸비 경기장이 개장하였으며, 정식 명칭은 이스타지우 시세루 폼페우 지 톨레두이다. 1963년에는 펠레의 산투스 FC를 상대로 4-1로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20]
1971년 브라질 전국 리그가 개막하면서 상파울루 FC는 준우승을 차지하였다.[58] 1974년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 인데펜디엔테에게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58] 1975년에는 조제 포이가 감독으로 부임했고,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우승을 차지하였다. 1977년 브라질 전국 리그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였는데, 발디르 페레스, 시캉, 세르지뉴 슐라파, 제 세르지우 등이 당시 팀의 핵심 선수들이었다.[58]
1980년대에 상파울루 FC는 오스카르와 다리오 페레이라의 활약으로 주리그에서 4차례, 전국 리그에서 1차례 우승을 차지하였다. 1980년과 1981년에는 1940년대 이후 처음으로 주리그 2년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21]
1985년 실리뉴 감독은 실라스, 뮬러, 시드니 등이 포함된 '모룸비의 메누도스(Menudos de Morumbi)' 팀을 선보였고, 상파울루 FC는 다시 한번 주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AS 로마에서 영입된 미드필더 팔캉은 1985년 주리그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1986년에는 페페 감독이 이끄는 상파울루 FC가 구아라니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두 번째 전국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87년 다리오 페레이라가 팀을 떠났지만, 그 해 '메누도스'는 마지막 주리그 우승을 거머쥐었다. 1989년 주리그 우승과 전국 리그 준우승을 끝으로 '삼색 10년'은 막을 내렸다.[21]
1990년 구단은 텔레 산타나를 감독으로 영입했고, 1990년 전국 리그 준우승을 차지하였다.[22] 1991년 주리그 우승은 텔레 산타나의 첫 트로피였다. 1991년 전국 리그에서는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의 CA 브라간치누를 꺾고 우승했다.
199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 뉴얼스 올드 보이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구단 역사상 최초로 대륙 대회 우승을 차지하였다.[23] 같은 해 인터콘티넨털컵에서 요한 크라위프의 FC 바르셀로나를 2-1로 꺾고 우승했다. 1993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를 합계 5-3으로 꺾고 우승했다. 레코파 수다메리카나와 1993 수페르코파 리베르타도레스(1993 Supercopa Libertadores)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인터콘티넨털컵에서 파비오 카펠로의 AC 밀란을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토니뉴 세레조의 도움을 받은 뮬러가 경기 종료 86분에 결승골을 넣었다.[24]
1994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3년 연속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벨레스 사르스피엘드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하지만 이 해 말에 코파 CONMEBOL에서 페냐롤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 텔레 산타나가 건강상의 문제로 감독직을 사임하면서 상파울루 FC의 황금기는 막을 내렸다.
2000년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에서 우승했고, 2001년에는 리우-상파울루 토너먼트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호제리우 세니, 줄리우 바프티스타, 루이스 파비아누, 카카 등 스타 선수들이 있었지만, 이 시기에는 이 두 타이틀 외에 특별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2004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4강에 진출했으나, 온세 칼다스에게 패하며 탈락했다.
2005년 에메르송 레앙 감독 부임 후 주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나, 레앙 감독은 곧 팀을 떠났고, 파울로 아우투오리가 지휘봉을 잡았다. 같은 해 200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를 꺾고 구단 역사상 세 번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트로피를 들어 올렸으며, 이는 브라질 축구단 중 최초의 기록이었다. 2005년 FIFA 클럽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알이티하드를 꺾고, 결승전에서 리버풀 FC를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며 세계 클럽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26][27]
무리시 하말류 감독 부임 후, 산투스 FC에게 1점 차로 밀려 주리그 준우승을 차지했고, 2006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 SC 인테르나시오나우에게 패했다. 그러나 전국 리그에서 우승하며, 브라질 전국 리그 개편 이후 최초로 우승을 차지한 팀이 되었다. 전국 리그에서 다시 우승하며 2년 연속 우승을 기록했다. 2008년에도 전국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3년 연속 우승 및 통산 6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200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크루제이루 EC에게 패배하였고, 이후 하말류 감독은 경질되고 히카르두 고메스가 새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히카르두 고메스 감독은 201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SC 인테르나시오나우에게 패하며, 이후 경질되었다. 2011년 상파울루 FC는 히바우두를 영입하였고, 루이스 파비아누를 영입하였다. 2011년에는 골키퍼 호베르투 세니가 개인 통산 100호골을 기록하였다.
2003년부터 2011년까지 상파울루 FC는 브라질에서 두 번째로 큰 영업이익을 기록하고 있었다.[69] 2013 시즌을 앞두고, 상파울루 FC는 페나우치와 유니폼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 계약으로 상파울루 FC는 연간 3500만브라질 헤알을 벌어들이게 되었다.[70] 2015년 5월, 상파울루 FC는 언더아머와 유니폼 계약을 체결하였다.
2. 1. 구단의 창단 : 1930년대
1930년 1월 25일 CA 파울리스타누와 AA 다스 파우메이라스 선수들이 모여 상파울루 FC를 창단하였다. 상파울루 FC는 CA 파울리스타누의 선수와 AA 다스 파우메이라스의 경기장을 기반으로 하였다. 구단의 상징색은 앞선 두 구단의 것을 차용하여, AA 다스 파우메이라스의 검은 줄과 CA 파울리스타누의 빨강과 검정을 섞어 만들었다.
1931년 상파울루 FC는 주 리그에서 26경기 동안 92득점, 단 1패만을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하였다.[11][12] 1933년 상파울루 FC는 공식적으로 프로화를 선언하였고, 프로화 이후 첫 공식 경기는 1933년 3월 12일 산투스 FC와의 친선 경기로, 5-1로 승리하였다.

이후 재정 문제로 CR 치에테와 합병하였으나, 1935년 12월 16일 구단 창립자들이 뜻을 모아 재창단하였다.[15][16]
2. 2. 폭주 기관차 : 1940년대
1940년 이스타지우 두 파카엠부가 개장하며 상파울루주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였다. 상파울루 FC는 1941년 주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듬해 상파울루 FC는 CR 플라멩구에서 200 헤알(오늘날 약 16.2만브라질 헤알의 가치)에 포로사를 영입했다. 또한 아르헨티나의 안토니오 사스트레, 브라질의 노로냐, 바우에르 등을 영입하며 막강한 스쿼드를 갖추었다. 그들은 ''폭주 기관차''라는 새로운 별명을 얻었으며,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에서 1943년, 1945년, 1946년, 1948년, 1949년에 우승하였다.[58]2. 3. 정체기 : 1950년대

1940년대의 성공과 달리, 1950년대는 구단에게 밝은 시기는 아니었다. 상파울루 FC는 주 리그에서 1953년과 1957년 단 두 차례만 우승했다. 이 시기 동안 구단은 산투스 FC의 펠레를 막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1952년 착공을 시작한 모룸비 경기장 건설로 인해 구단의 재정 상황은 악화되었고, 새로운 선수 영입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모룸비 경기장이 완공되기까지 13년이라는, 구단 역사상 가장 긴 무관의 시기를 보내야 했다.[18][19]
1957년 우승은 35세의 브라질 국가대표 지지뉴(Zizinho)와 헝가리 감독 벨라 구트만(Béla Guttmann)의 도움으로 이루어졌으며, 두 사람 모두 구단의 상징적인 인물이 되었다. 구트만은 1957년 팀을 맡아 그 해 상파울루 주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이끌었으며, 4-2-4 포메이션을 브라질에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이 포메이션은 이후 브라질이 1958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하는 데 사용되었다.
2. 4. 모룸비 개장 : 1960년대
상파울루는 빡빡한 예산을 가지고 있었지만, 1960년대에 브라질 대표였던 호베르투 디아스와 주란디르를 영입하였다. 1960년에 모룸비 경기장이 개장하였으며, 정식 명칭은 구단 회장이었으나 완공 이전에 사망한 시세루 폼피우 지 톨레두의 이름을 따 이스타지우 시세루 폼페우 지 톨레두이다. 1963년에는 펠레의 산투스 FC를 상대로 4-1로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20]
2. 5. 전국 리그 참가 : 1970년대
1971년 브라질 전국 리그가 개막하면서 상파울루 FC는 텔레 산타나 감독이 이끄는 아틀레치쿠 미네이루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였다.[58] 이 시기에는 펠레의 산투스가 점차 저물고, 상파울루 FC와 파우메이라스가 그들을 뛰어넘기 시작했다. 1974년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 인데펜디엔테에게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58]1975년에는 전 골키퍼였던 조제 포이가 감독으로 부임했고, 상파울루 FC는 포르투게자를 꺾고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우승을 차지하였다. 1977년 브라질 전국 리그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였는데, 발디르 페레스, 시캉, 세르지뉴 슐라파, 제 세르지우 등이 당시 팀의 핵심 선수들이었다.[58]
2. 6. 삼색 군단의 시대 : 1980년대
1980년대에 상파울루 FC는 오스카르와 다리오 페레이라의 활약으로 주리그에서 4차례, 전국 리그에서 1차례 우승을 차지하였다. 1980년과 1981년에는 1940년대 이후 처음으로 주리그 2년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21]1985년 실리뉴 감독은 파울루 실라스, 뮬러, 시드니 등이 포함된 '모룸비의 메누도스(Menudos de Morumbi)' 팀을 선보였고, 상파울루 FC는 다시 한번 주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86년 FIFA 월드컵에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중앙 공격수로 출전한 카레카가 주요 스트라이커로 활약했다. AS 로마에서 영입된 미드필더 팔캉은 1985년 주리그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1986년에는 페페 감독이 이끄는 상파울루 FC가 구아라니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두 번째 전국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87년 다리오 페레이라가 팀을 떠났지만, 그 해 '메누도스'는 마지막 주리그 우승을 거머쥐었다. 1989년 주리그 우승과 전국 리그 준우승을 끝으로 '삼색 10년'은 막을 내렸다.[21]
2. 7. 텔레 시대 : 1990년대
1990년 구단은 주리그 초반에 부진한 경기력을 보였다. 이에 구단은 텔레 산타나를 감독으로 영입했고, 1990년 전국 리그 준우승을 차지하였다.[22] 1991년 주리그 우승은 텔레 산타나의 첫 트로피였다. 1991년 전국 리그에서는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의 CA 브라간치누를 꺾고 우승하며, 국내외적으로 꾸준한 성과를 거두는 시기를 시작했다.199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의 뉴얼스 올드 보이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구단 역사상 최초로 대륙 대회 우승을 차지하였다.[23] 같은 해 도쿄에서 열린 인터콘티넨털컵에서 요한 크라위프의 FC 바르셀로나를 2-1로 꺾고 우승했다. 브라질로 돌아와서는 파우메이라스를 2-1로 꺾고 18번째 주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1993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 칠레의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를 합계 5-3(1차전 5-1 승리 포함)으로 꺾고 우승했다. 대회 후 핵심 미드필더 라이(Raí)가 팀을 떠났다. 그 해 레코파 수다메리카나에 출전하여 1992 수페르코파 리베르타도레스(1992 Supercopa Libertadores) 우승팀이자 브라질의 라이벌인 크루제이루를 꺾었다. 또한 1993 수페르코파 리베르타도레스(1993 Supercopa Libertadores)에서 결승전 승부차기 끝에 플라멩구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수페르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수페르코파 리베르타도레스를 석권하는 전례 없는 CONMEBOL 트레블을 달성했다.
같은 해 인터콘티넨털컵에서 파비오 카펠로의 AC 밀란을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토니뉴 세레조의 도움을 받은 뮬러가 경기 종료 86분에 결승골을 넣었다.[24] 이로써 상파울루는 쿼드러플을 달성했다.
1994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3년 연속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아르헨티나의 벨레스 사르스피엘드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하지만 이 해 말에 코파 CONMEBOL에서 우루과이의 페냐롤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 텔레 산타나가 건강상의 문제로 감독직을 사임하면서 상파울루 FC의 황금기는 막을 내렸다. 이후 2004년까지 14명의 감독이 팀을 거쳐갔다.


2. 8. 침체기와 부활 : 2000년대
2000년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에서 우승했고, 2001년에는 리우-상파울루 토너먼트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호제리우 세니, 줄리우 바프티스타, 루이스 파비아누, 카카 등 스타 선수들이 있었지만, 이 시기에는 이 두 타이틀 외에 특별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2004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4강에 진출했으나, 콜롬비아의 온세 칼다스에게 패하며 탈락했다.2005년 에메르송 레앙 감독 부임 후 주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나, 레앙 감독은 곧 팀을 떠났고, 파울로 아우투오리가 지휘봉을 잡았다. 같은 해 200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를 꺾고 구단 역사상 세 번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트로피를 들어 올렸으며, 이는 브라질 축구단 중 최초의 기록이었다. 2005년 FIFA 클럽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알이티하드를 꺾고, 결승전에서 리버풀 FC를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며 세계 클럽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26][27] 아우투오리 감독은 일본 J1리그의 가시마 앤틀러스 감독직을 맡기 위해 팀을 떠났다.

무리시 하말류 감독 부임 후, 산투스 FC에게 1점 차로 밀려 주리그 준우승을 차지했고, 2006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 SC 인테르나시오나우에게 패했다. 그러나 전국 리그에서 우승하며, 브라질 전국 리그 개편 이후 최초로 우승을 차지한 팀이 되었다. 200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조기 탈락했으나, 전국 리그에서 다시 우승하며 2년 연속 우승을 기록했다. 2008년에도 전국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3년 연속 우승 및 통산 6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하말류 감독은 브라질 대회에서 같은 팀으로 3년 연속 우승을 차지한 최초의 감독이 되었다. 200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는 크루제이루 EC에게 패배하며 4년 연속 브라질 팀에게 패배하여 탈락하는 기록을 남겼고, 이후 하말류 감독은 경질되고 히카르두 고메스가 새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 9. 2010년대~현재
히카르두 고메스 감독은 201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SC 인테르나시오나우에게 패하며 5년 연속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브라질 팀에게 패배하여 탈락했고, 이후 경질되었다. 2011년 상파울루 FC는 우즈베키스탄의 부뇨드코르에서 선수 말년을 보내고 있던 히바우두를 영입하였고, 스페인 세비야 FC로부터 구단 역사상 최고액인 760만유로에 루이스 파비아누를 영입하였다. 2011년에는 골키퍼 호베르투 세니가 SC 코린치앙스 파울리스타를 상대로 개인 통산 100호골을 기록하였다.2003년부터 2011년까지 상파울루 FC는 브라질에서 두 번째로 큰 영업이익을 기록하고 있었다.[69] 2013 시즌을 앞두고, 상파울루 FC는 7년간 입어온 리복과 해지하고, 브라질 국내 브랜드인 페나우치와 유니폼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 계약으로 상파울루 FC는 연간 3500만브라질 헤알을 벌어들이게 되었다.[70] 이 계약은 아디다스와 체결한 CR 플라멩구 다음으로, 브라질 축구 역사상 두 번째로 큰 수익을 벌어들인 유니폼 계약이었다.[71] 2015년 5월, 상파울루 FC는 언더아머와 유니폼 계약을 체결하였다.
3. 선수 명단
[46][47]
다음은 2024년 9월 10일 기준 상파울루 FC의 선수 명단이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비고 |
---|---|---|---|---|
2 | DF | 이고르 비니시우스(Igor Vinícius) | ||
3 | DF | 자말 루이스 | 뉴캐슬 유나이티드에서 임대 | |
4 | MF | 산티아고 롱고(Santiago Longo) | 벨그라노에서 임대 | |
5 | DF | 로베르트 아르볼레다(Robert Arboleda) | ||
7 | FW | 루카스 모우라(Lucas Moura) | ||
8 | MF | 줄리아누 갈로포(Giuliano Galoppo) | ||
9 | FW | 조나탄 칼레리(Jonathan Calleri) | 부주장 | |
10 | FW | 루치아누 | ||
11 | MF | 로드리고 네스토르(Rodrigo Nestor) | ||
13 | DF | 라피냐 | 주장 | |
15 | MF | 미셸 아라우주(Michel Araújo) | ||
16 | MF | 루이스 구스타보(Luiz Gustavo) | ||
17 | FW | 앙드레 실바 | ||
18 | MF | 로드리기뉴 | ||
20 | MF | 마르코스 안토니오 | 라치오에서 임대 | |
21 | MF | 다미안 보바딜라(Damián Bobadilla) | ||
22 | DF | 루앙 트레솔디(Ruan Tressoldi) | 사수올로에서 임대 | |
23 | GK | 라파엘 | ||
25 | MF | 알리송 | ||
26 | MF | 리제이로 | ||
27 | MF | 웰링턴 라토(Wellington Rato) | ||
28 | DF | 알란 프랑코 | ||
29 | MF | 파블로 마이아(Pablo Maia) | ||
30 | DF | 모레이라 | ||
32 | DF | 나우엘 페라레시(Nahuel Ferraresi) | ||
33 | FW | 에릭 | ||
35 | DF | 사비노 | ||
36 | DF | 파트릭 란자(Patryck Lanza) | ||
37 | FW | 앙리케 카르모(Henrique Carmo) | ||
39 | FW | 윌리엄 고메스(William Gomes) | ||
46 | MF | 펠리페 네그루치(Felipe Negrucci) | ||
47 | FW | 페레이라 | ||
50 | GK | 영 | ||
93 | GK | 잔드레이(Jandrei) |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2 | GK | 레안드루 | |
14 | FW | 파울리뉴 | |
19 | FW | 라이언 프란시스쿠 | |
20 | MF | 마테우스 알베스 | |
22 | DF | 이구르 펠리스베르투 | |
24 | GK | 펠리피 프라이스 | |
26 | DF | 귀유르메 레이스 | |
34 | DF | 루이스 오소리오 | |
38 | MF | 카우아 루카 | |
40 | GK | 주앙 페드루 | |
42 | DF | 루카스 로스 | |
45 | MF | 루카스 페헤이라 | |
48 | FW | 킹 파이살 | |
49 | FW | 주앙 가브리엘 | |
GK | 아서 도리아(Arthur Doria) | ||
GK | 에릭(Eric) | ||
DF | 브라이언(Brian) | ||
34 | DF | 이가오(Igão) | |
DF | 루이스 마누엘 오레후엘라(Luis Manuel Orejuela) | ||
DF | 마르케스 리켈메(Marques Rickelme) | ||
DF | 이탈로(Ythallo) | ||
MF | 가브리엘 팔캉(Gabriel Falcão) | ||
MF | 길예르메 후마사(Guilherme Fumaça) | ||
MF | 예그손 멘데스(Jhegson Méndez) | ||
MF | 레오 실바(Léo Silva (footballer, born 2003)) | ||
MF | 루앙(Luan (footballer, born 1999)) | ||
MF | 루이스 엔리케(Luiz Henrique) | ||
FW | 아놀드 코티토(Arnold Cotito) | ||
FW | 카이우 마테우스(Caio Matheus) | ||
FW | 가브리엘 스테바나토(Gabriel Stevanato) | ||
FW | 티에리 앙리(Thierry Henry) |
포지션 | 이름 | 국적 | 임대 구단 | 임대 기간 |
---|---|---|---|---|
GK | Roberto | 코리치바 | 2025년 1월 31일까지 | |
DF | 마테우스 벨렘 | 샤페코엔세 | 2025년 12월 31일까지 | |
MF | 이바 리 | 인테르 데 리메이라 | 2025년 5월 1일까지 | |
MF | 마테우스 아마랄 | 올렉산드리야-2 | 2025년 6월 30일까지 | |
MF | 니콜라스 보르제스 | 주벤투지 | 2025년 6월 30일까지 | |
MF | 페드루 빌헤나 | 폰치 프레타 | 2025년 3월 31일까지 |
3. 1. 1군 선수단
기준 선수 명단.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데니스 세자르 | |
2 | DF | 브루누 비에이라 | |
3 | DF | 호드리구 카이우 | |
4 | DF | 로베르트 아르볼레다 | |
6 | MF | 페트루스 마테우스 | |
11 | MF | 루카스 페르난지스 | |
12 | GK | 시드네이 아파레시두 하무스 | |
16 | DF | 이지마르 프라가 (크루제이루 임대) | |
18 | DF | 훌리우 부파리니 | |
19 | MF | 안토니우 토마즈 | |
20 | MF | 샤일롱 칼리종 카르두수 | |
22 | DF | 주니오르 타바레스 | |
23 | MF | 마르쿠스 길리에르미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임대) | |
28 | MF | 펠리피 아라루나 | |
30 | GK | 헤낭 히베이루 | |
32 | MF | 아데를랑 산투스 (발렌시아 임대) | |
33 | MF | 조나탄 고메스 | |
34 | DF | 브루누 파비아누 아우베스 | |
35 | FW | 브레네르 소우자 다 시우바 | |
38 | FW | 앤드류 에릭 페이토사 (이투아누 임대) | |
39 | FW | 마르시우 안토니우 지 소우 (상베르나르두 임대) | |
40 | GK | 루카스 페리 | |
41 | FW | 데니우송 페헤이라 주니오르 (그라나다 임대) |
3. 2. 역대 선수
1930년 창단 이후 상파울루 FC에서 활약했던 가장 유명하고 사랑받는 선수들 목록이다.[50][51][52][53]주요 선수 목록 | |||
---|---|---|---|
아딜손 (Adílson) | 구스타보 알벨라|구스타보 알벨라es (Gustavo Albella) | 알렉스 실바 (Alex Silva) | 알프레도 라모스 (Alfredo Ramos) |
알로이시오 슐라파 (Aloísio Chulapa) | 마르시오 아모로소 (Márcio Amoroso) | 안토니오 카를루스 자고 (Antônio Carlos Zago) | 아라켄 파투스카 (Araken Patusca) |
아를린두 (Arlindo) | 바르토 (Barthô) | 바우어 (Bauer) | 줄리아누 벨레티 (Juliano Belletti) |
힐데랄두 벨리니 (Hilderaldo Bellini) | 베르나르두 (Bernardo) | 움베를리투 보르제스 (Humberlito Borges) | 브레누 (Breno) |
카푸 (Cafu) | 칸호테이루 (Canhoteiro) | 카레카 (Careca) | 시캉 (Chicão) |
시시뉴 (Cicinho) | 다구베르투 (Dagoberto) | 다닐루 (Danilo) | 다리오 페레이라|다리오 페레이라es (Darío Pereyra) |
닐톤 드 소르디 (Nílton de Sordi) | 데닐손 (Denílson) | 디에고 루가노|디에고 루가노es (Diego Lugano) | 딩뉴 (Dinho) |
디누 사니 (Dino Sani) | 엘리벨톤 (Elivélton) | 파바우 (Fabão) | 파울루 로베르투 팔캉 (Paulo Roberto Falcão) |
파블로 포를란|파블로 포를란es (Pablo Forlán) | 프랑사 (França) | 프리아사 (Friaça) | 아서 프리덴라이히 (Arthur Friedenreich) |
제르송 (Gérson) | 게툴리우 (Getúlio) | 질베르투 소리수 (Gilberto Sorriso) | 질마르 리날디 (Gilmar Rinaldi) |
지누 오를란두 (Gino Orlando) | 에르나네스 (Hernanes) | 우고 (Hugo) | 조르지 바그너 (Jorge Wagner) |
조수에 (Josué) | 주니뉴 (Juninho Paulista) | 주니어 (Júnior) | 주란지르 (Jurandir) |
카카 (Kaká) | 킹 (King) | 레오나르두 아라우주 (Leonardo Araújo) | 레오니다스 다 실바 (Leônidas da Silva) |
루카스 모우라 (Lucas Moura) | 루이스 파비아누 (Luís Fabiano) | 루이징뉴 (Luisinho) | 마세두 (Macedo) |
마리우 세르지우 (Mário Sérgio) | 마우리뉴 (Maurinho) | 마우루 라모스 (Mauro Ramos) | 미네이루 (Mineiro) |
미란다 (Miranda) | 미란딩냐 (Mirandinha) | 뮐러 (Müller) | 넬시뉴 (Nelsinho) |
노로냐 (Noronha) | 오스카르 베르나르디 (Oscar Bernardi) | 팔리냐 (Palhinha) | 파라나 (Paraná) |
페드루 로샤|페드루 로샤es (Pedro Rocha) | 핀타두 (Pintado) | 피타 (Pita) | 호세 포이|호세 포이es (José Poy) |
라이 (Raí) | 레무 야누지 (Remo Januzzi) | 레나투 (Renato) | 아르만도 렝가네스키|아르만도 렝가네스키es (Armando Renganeschi) |
리베르투 (Riberto) | 리카르두 로샤 (Ricardo Rocha) | 리샤를리손 (Richarlyson) | 로베르투 디아스 (Roberto Dias) |
로제리우 세니 (Rogério Ceni) | 론달다우 (Ronaldão) | 론나우두 루이스 (Ronaldo Luiz) | 루이 캄푸스 (Rui Campos) |
안토니오 사스트레|안토니오 사스트레es (Antonio Sastre) | 세르지뉴 (Serginho) | 세르지뉴 슐라파 (Serginho Chulapa) | 파울루 실라스 (Paulo Silas) |
윌리아미스 소우자 (Williamis Souza) | 테오도루 (Teodoro) | 테이셰이링냐 (Teixeirinha) | 테르투 (Terto) |
토니뉴 세레조 (Toninho Cerezo) | 토니뉴 게레이루 (Toninho Guerreiro) | 발베르 (Válber) | 발데마르 드 브리투 (Waldemar de Brito) |
발디르 페레스 (Waldir Peres) | 알베르투 자르주르 (Alberto Zarzur) | 제 세르지우 (Zé Sérgio) | 제 테오도루 (Zé Teodoro) |
제티 (Zetti) | 지징뉴 (Zizinho) |
우승 | 준우승 | 3위 | 4강 |
---|
시즌 | 상파울루 주 리그 | 브라질 세리에 A | 코파 두 브라질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코파 수다메리카나 | 클럽 월드컵 | 기타 |
---|---|---|---|---|---|---|---|
2001 | 세리에 A1 8위 | 세리에 A 7위 | 8강 | - | 미개최 | - | 토르네이오 리우-상파울루 우승 |
2002 | - [68] | 세리에 A 5위 | 4강 | - | - | - | 수페르캄피오나투 파울리스타[61] 우승[59] |
2003 | 세리에 A1 준우승 | 세리에 A 3위 | 8강 | - | 4강 | - | |
2004 | 세리에 A1 5위 | 세리에 A 3위 | - | 4강 | 16강 | - | |
2005 | 세리에 A1 우승 | 세리에 A 11위 | - | 우승 | 1차전 탈락 | 우승 | |
2006 | 세리에 A1 준우승 | 세리에 A 우승 | - | 준우승 | - | - | |
2007 | 세리에 A1 3위 | 세리에 A 우승 | - | 16강 | 8강 | - | |
2008 | 세리에 A1 3위 | 세리에 A 우승 | - | 8강 | 2차전 탈락 | - | |
2009 | 세리에 A1 4위 | 세리에 A 3위 | - | 8강 | - | - | |
2010 | 세리에 A1 4위 | 세리에 A 9위 | - | 4강 | - | - | |
2011 | 세리에 A1 4위 | 세리에 A 6위 | 8강 | - | 16강 | - | |
2012 | 세리에 A1 3위 | 세리에 A 4위 | 4강 | - | 우승 | - | |
2013 | 세리에 A1 3위 | 세리에 A 9위 | - | 16강 | 4강 | - | |
2014 | 세리에 A1 6위 | 세리에 A 준우승 | 3차전 탈락 | - | 4강 | - | |
2015 | 세리에 A1 4위 | 세리에 A 4위 | 4강 | 16강 | - | - | |
2016 | 세리에 A1 8위 | 세리에 A 10위 | 16강 | 4강 | - | - | |
2017 | 세리에 A1 4위 | 세리에 A 13위 | 4차전 탈락 | - | 1차전 탈락 | - | |
2018 | 세리에 A1 3위 | 세리에 A 5위 | 4차전 탈락 | - | 2차전 탈락 | - | |
2019 | 세리에 A1 준우승 | 세리에 A 6위 | 16강 | 2차전 탈락 | - | - | |
2020 | 세리에 A1 6위 | 세리에 A 4위 | 4강 | 조별리그 탈락 | 2차전 탈락 | - | |
2021 | 세리에 A1 우승 | 세리에 A 13위 | 8강 | 8강 | - | - | |
2022 | 세리에 A1 준우승 | 세리에 A 9위 | 4강 | - | 준우승 | - |
- 로베르토 로하스|로베르토 로하스es
- 제치 (1990-1996)
- 로제리오 세니 (1992-2015)
- 고가와 마사아키|고가와 마사아키일본어 (1991-1992)
4. 역대 감독
다음은 상파울루 FC의 역대 감독 목록이다.
감독 | 임기 |
---|---|
네우시뉴 바프치스타 | 1998 |
네우시뉴 바프치스타 | 2001 ~ 2002 |
오즈와우두 지 올리베이라 | 2002 ~ 2003 |
히카르두 고메스 | 2009 ~ 2010 |
후안 카를로스 오소리오 | 2015 |
히카르두 고메스 | 2016 |
아지우송 지아스 바치스타 | 2011 |
레오니다스 | 1951, 1952, 1954-1955 |
베라 구트만 | 1957-1958 |
텔레 산타나 | 1973, 1990-1996 |
조제 카를루스 세호른 | 1983-1987 |
조제 마시아 (Pepe|페페pt) | 1986 |
카를루스 알베르투 파레이라 | 1996 |
다리오 페레이라 | 1997-1998 |
에지바우두 올리베이라 차베스 (Pita|피타pt) | 1999 |
밀톤 다 크루스 | 1999, 2005, 2009, 2010, 2011, 2012, 2013, 2015 |
레비 쿠르피 | 2000 |
에메르송 레옹 | 2004-2005, 2011.10-2012.6 |
파울루 아우투오리 | 2005, 2013.7-9 |
무리시 라말류 | 2006-2009, 2013.9-2015 |
세르지우 바레지 | 2010 |
파울루 세자르 카르페지아니 (Carpegiani|카르페지아니pt) | 2010-2011 |
네이 프랑쿠 | 2012-2013 |
드리발 기도니 주니오르 (Doriva|드리바pt) | 2015 |
로제리우 세니 | 2017 |
드리발 주니오르 | 2017 |
디에고 아기레 | 2018-2019 |
페르난두 지니스 | 2020 |
에르난 크레스포 | 2021- |
5. 라이벌 매치
상파울루주를 연고로 하는 코린치앙스, 파우메이라스, 산투스 FC(Santos FC)는 상파울루 FC와 함께 상파울루 주의 4대 클럽으로 꼽히며, 이들 클럽과의 경기는 클라시코라고 불린다. 코린치앙스와의 클라시코는 마제스토조(장엄한 더비), 파우메이라스와의 클라시코는 쇼키 헤이(왕들의 충돌), 산투스와의 클라시코는 상 상(두 클럽의 머리글자)이라고 불린다.
5. 1. 상파울루 vs 코린치앙스
양 팀 간의 대결은 "토마스 마쪼니 (Thomas Mazzoni)"의 이름을 따, 클라시쿠 마제스토(Clássico Majestosopt)라 불린다. 두 팀의 첫 대결은 1930년 5월 25일에 펼쳐졌다. 상파울루 FC와 코린치앙스의 역대 전적은 상파울루가 110승, 코린치앙스가 131승, 무승부 114번이다.[54]5. 2. 상파울루 vs 파우메이라스
Choque Reipt라고 불리는 상파울루 FC와 파우메이라스의 더비 경기는 '왕들의 충돌'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상파울루 FC는 이 경기에서 114승, 파우메이라스는 113승을 기록했으며, 110번의 무승부를 기록했다.[55]
같은 상파울루주를 연고로 하는 코린치앙스, 파우메이라스, 산투스는 상파울루 FC와 함께 상파울루 주의 4대 클럽으로 꼽힌다. 이 팀들과의 경기는 클라시코라고 불리며, 특히 코린치앙스와의 경기는 '마제스토조'(Majestoso), 파우메이라스와의 경기는 '쇼키 헤이'(Choque-Rei), 산투스와의 경기는 '상 상'(San-São)이라는 고유한 명칭으로 불린다.
5. 3. 상파울루 vs 산투스
양 팀 간의 대결은 산상(San-Sãopt)이라 불린다. 1936년에 처음 열린 이래로 상파울루 FC가 137승, 산투스가 106승을 거두었으며, 75번의 무승부가 있었다.[56] 역대 전적으로는 상파울루 FC가 114승, 산투스가 92승, 62번의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상파울루주를 연고지로 하는 코린치앙스, 파우메이라스, 산투스 FC(Santos FC)는 상파울루 FC와 함께 상파울루주의 4대 클럽으로 여겨지며, 이들 클럽과의 경기는 클라시코라고 불린다. 산투스와의 클라시코는 상 상(San-São: 두 클럽의 머리글자)라고 불린다.
6. 기록
상파울루 FC는 브라질 세리에 A에서 1977년, 1986년, 1991년, 2006년, 2007년, 2008년에 우승을 차지했고, 1971년, 1981년, 1989년, 1990년, 2014년에 준우승을 기록했다. 또한 로베르토 고메스 페드로사 토너먼트에서는 1967년부터 1970년까지 각각 10위, 10위, 13위, 14위를 기록했다.
6. 1. 전국 리그 기록
로베르토 고메스 페드로사 토너먼트 |
---|
7. 수상
상파울루 FC는 브라질에서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로, 국내 대회 32회, 국제 대회 12회 우승을 기록했다.[9] 2024 수페르코파 두 브라질 우승으로 브라질 클럽 최초로 모든 대회 트로피를 석권했다.[9]
자세한 내용은 상파울루 FC 기록 및 통계 목록 참조.
7. 1. 국제 대회
상파울루 FC는 브라질에서 국제 대회 우승 횟수가 가장 많은 클럽이다.[9]연도 | 관중수 | 연도 | 관중수 |
---|---|---|---|
1972 | 38,616 | 2004 | 56,103 |
1974 | 21,821 | 2005 | 48,822 |
1978 | 31,132 | 2006 | 50,755 |
1982 | 14,552 | 2007 | 26,287 |
1987 | 7,301 | 2008 | 36,809 |
1992 | 25,771 | 2009 | 38,403 |
1993 | 68,725 | 2010 | 42,686 |
1994 | 54,663 | 2013 | 41,346 |
---- | ------ | 2015 | 37,023 |
7. 1. 1. 세계
상파울루 FC는 브라질에서 국제 대회 우승 횟수가 가장 많은 클럽으로, 총 12번의 국제 대회 우승을 기록했다.[9]전 세계 대회 | ||
---|---|---|
대회 | 우승 횟수 | 시즌 |
FIFA 클럽 월드컵 | 1 | 2005년 |
인터컨티넨털컵 | 2 | 1992년, 1993년 |
대륙 대회 | ||
대회 | 우승 횟수 | 시즌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3 | 1992년, 1993년, 2005년 |
코파 수다메리카나 | 1 | 2012년 |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 2 | 1993년, 1994년 |
수페르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1 | 1993년 |
코파 코네볼 | 1 | 1994년 |
코파 마에스트로스 코네볼 | 1 | 1996년 |
FIFA 클럽 월드컵(구 토요타컵)에서 세 차례 우승(2005년 - 리버풀 FC전, 1992년 - FC 바르셀로나전, 1993년 - AC 밀란전)을 차지했다.
마크 상단의 붉은색 별은 축구 경기, FIFA 클럽 월드컵(2005) 및 인터컨티넨털컵(1992, 1993) 우승을 기념하는 것이다.
7. 1. 2. 대륙
대회 | 우승 횟수 | 시즌 |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3 | 1992년, 1993년, 2005년 |
코파 수다메리카나 | 1 | 2012년 |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 2 | 1993년, 1994년 |
수페르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1 | 1993년 |
코파 코네볼 | 1 | 1994년 |
코파 마에스트로스 코네볼 | 1 | 1996년 |
7. 2. 국내 대회
상파울루 FC는 브라질에서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로, 국내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대회 | 우승 횟수 | 시즌 |
---|---|---|
브라질 세리에 A | 6 | 1977년, 1986년, 1991년, 2006년, 2007년, 2008년 |
코파 두 브라질 | 1 | 2023년 |
수페르코파 두 브라질 | 1 | 2024년 |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 22 | 1931년, 1943년, 1945년, 1946년, 1948년, 1949년, 1953년, 1957년, 1970년, 1971년, 1975년, 1980년, 1981년, 1985년, 1987년, 1989년, 1991년, 1992년, 1998년, 2000년, 2005년, 2021년 |
토르네이우 리우-상파울루 | 1 | 2001년 |
수페르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57] | 1 | 2002년 |
7. 2. 1. 전국
대회 | 우승 횟수 | 시즌 |
---|---|---|
브라질 세리에 A | 6 | 1977년, 1986년, 1991년, 2006년, 2007년, 2008년 |
코파 두 브라질 | 1 | 2023년 |
수페르코파 두 브라질 | 1 | 2024년 |
상파울루 FC는 2024 수페르코파 두 브라질 우승으로 브라질 클럽 최초로 모든 전국 대회 트로피를 석권한 클럽이 되었다.[9]
7. 2. 2. 주 (州)
대회 | 우승 횟수 | 시즌 |
---|---|---|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 22 | 1931년, 1943년, 1945년, 1946년 |
토르네이우 리우-상파울루 | 1 | 2001년 |
수페르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57] | 1 | 2002년 |
무패 우승
8. 유니폼과 엠블럼
상파울루 FC의 클럽 색상은 빨강, 흰색, 검정의 세 가지이며, 이는 CA 파울리스타누(빨강, 흰색)와 AA 다스 팔메이라스(검정, 흰색)의 합병으로 각 팀의 색상을 계승한 것이다. 또한 상파울루 주의 깃발 색상과 일치하며, 브라질 원주민(빨강), 브라질 백인(흰색), 브라질 흑인(검정)을 나타낸다.[39][40]
홈 유니폼은 흰색 상의에 가슴 부분에 빨간색과 검정색 가로 줄무늬가 있고, 중앙에 배지가 있다. 원정 유니폼은 빨강, 흰색, 검정색 세로 줄무늬 상의에 검정색 하의로 구성된다.
엠블럼은 다섯 개의 꼭짓점을 가진 심장 모양이며, 상단에 흰색 SPFC 이니셜이 새겨진 검정색 직사각형이 있다. 그 아래에는 빨강, 흰색, 검정색 삼각형이 있다. 엠블럼은 독일 그래픽 디자이너 발터 오스트리히(Walter Ostrich)와 창립자 피르미아누 드 모라이스 핀투 필류(Firmiano de Morais Pinto Filho)가 디자인했다.[41]
엠블럼의 5개 별 중 금색 별 2개는 아데마르 페헤이라 다 실바의 1952년 하계 올림픽과 1955년 팬아메리칸 게임 세계 신기록 및 올림픽 신기록을, 빨간색 별 3개는 대륙간컵 2회 우승과 FIFA 클럽 월드컵 우승을 상징한다.[42]
9. 경기장
상파울루의 홈 경기장은 72,039석 규모의 이스타지우 두 모룸비(공식 명칭: 이스타지우 시세루 폼페우 지 톨레두)이다.[43] 빌라노바 아르티가스가 설계했으며, 브라질 모더니즘의 기념비로 여겨진다. 상파울루 행정부는 이 경기장을 문화재 보존 목록에 포함시켜 개조 및 현대화 가능성을 제한했었다.
하지만 2018년부터 목록에 올라 있던 모룸비 경기장은 WTorrept와 수백만 헤알 규모의 개보수 계약을 체결한 후, 상파울루 시청이 목록에서 경기장 이름을 삭제하는 데 동의하면서 2030년까지 완료될 8억브라질 헤알 규모의 현대화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다.
2023년 말, 몬델레즈는 5년 계약으로 연간 2500만브라질 헤알이라는 기록적인 금액에 경기장의 명명권을 구매하여 경기장 이름을 MorumBIS로 임시 변경했다. 또한 2023년 라이브 네이션 엔터테인먼트는 경기장에서의 콘서트 및 행사를 위해 클럽과 5년간 6000만브라질 헤알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이 분야에서 가장 비싼 계약이다.
1960년 10월 2일, 모룸비 경기장에서 열린 첫 경기는 스포르팅과의 친선 경기로, 상파울루가 1-0으로 승리했다. 처음에는 최대 12만 명을 수용할 수 있었지만, 현재 최대 수용 인원은 72,039석이다.[43]
이 클럽은 ''센트루 지 트레이나멘투 프레데리쿠 안토니우 제르마누 멘젠''(CT 다 바라 푼다)과[44] ''센트루 지 포르마상 드 아틀레타스 프레지덴테 라우두 나텔''(CT 지 코치아)라는[45] 두 개의 훈련장을 소유하고 있다. 전자는 프로 선수들이 주로 사용하고, 후자는 유소년 선수들이 사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oberano', 'Clube da Fé': Veja a origem dos apelidos do São Paulo FC
https://www.gazetasp[...]
Gazeta de São Paulo
2023-04-16
[2]
웹사이트
Sobre o Morumbi - SPFC
http://www.saopaulof[...]
2022-08-08
[3]
웹사이트
Time de preferência
https://web.archive.[...]
2010-12-15
[4]
웹사이트
Estudo aponta clubes mais valoriosos do Brasil
https://exame.com/es[...]
2023-01-30
[5]
웹사이트
The best clubs of South America
https://www.rsssf.or[...]
2021-09-26
[6]
웹사이트
Fútbol: Copa CONMEBOL, Resumen y Datos
http://www.infofutbo[...]
2015-07-21
[7]
웹사이트
Libertadores 2008 tem novidades 'históricas'
http://globoesporte.[...]
2007-12-10
[8]
웹사이트
Em 94, Expressinho salvou temporada com precursora da Sul-Americana
https://web.archive.[...]
2015-07-21
[9]
웹사이트
São Paulo se torna o único clube brasileiro 'campeão de tudo'
https://placar.com.b[...]
2024-02-04
[10]
웹사이트
Brasil nunca ganhou uma Copa sem jogadores de São Paulo e Palmeiras no elenco
https://esportefera.[...]
2022-10-09
[11]
웹사이트
1930 e 1935: conheça e entenda a história do Tricolor
http://www.saopaulof[...]
2014-01-25
[12]
웹사이트
Uniformes do São Paulo Futebol Clube
http://www.saopaulof[...]
[13]
웹사이트
Há 85 anos, Friedenreich se despedia do São Paulo em um Majestoso
https://www.gazetaes[...]
2020-03-24
[14]
웹사이트
Araken Patusca: Que Fim Levou?
https://terceirotemp[...]
[15]
웹사이트
A História do SPFC: Floresta
http://www.saopaulof[...]
[16]
웹사이트
Origins
http://www.saopaulof[...]
Official Website
[17]
웹사이트
SPFC
http://www.saopaulof[...]
Official Website
[18]
웹사이트
Revolutionary coach who survived Nazi labour camp to become world's first superstar manager | Sportal - World Sports News
https://sportal.co.i[...]
[19]
서적
Contested Fields; A Global History of Modern Footbal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0-01-29
[20]
웹사이트
A História do SPFC: Morumbi
http://www.saopaulof[...]
[21]
웹사이트
Tricolor decade
http://www.saopaulof[...]
Official Website
[22]
웹사이트
Telê Era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Copa Libertadores de América 1992
https://www.rsssf.or[...]
2010-10-08
[24]
웹사이트
Toyota cups 1992 and 1993
https://web.archive.[...]
FIFA Official Website
[25]
웹사이트
''Tricolor mais perto do Real Madrid'' – Gazeta Esportiva
http://wwwd.gazetaes[...]
2003-04-23
[26]
웹사이트
Ceni wins best player prize
https://web.archive.[...]
FIFA.com
2005-12-22
[27]
웹사이트
High drama in Yokohama
https://web.archive.[...]
FIFA.com
2005-12-22
[28]
웹사이트
Ceni: I see my team-mates in these awards
https://web.archive.[...]
FIFA.com
2005-12-18
[29]
웹사이트
Papões de títulos, Inter e São Paulo são os campeões de vender craques
http://globoesporte.[...]
2013-01
[30]
웹사이트
Tricolor confirma acordo milionário e apresenta nova camisa no dia 17
http://globoesporte.[...]
2013-01
[31]
웹사이트
São Paulo revela acordo recorde com Penalty por três anos
http://br.esporteint[...]
2013-01-01
[32]
웹사이트
São Paulo inicia neste sábado parceria promissora com a Adidas
https://www.terra.co[...]
[33]
웹사이트
Flamengo vence São Paulo outra vez e carimba vaga na final da Copa do Brasil
https://www.ogol.com[...]
[34]
웹사이트
Após vice na Sul-Americana com São Paulo, Calleri vai em busca de objetivo no Brasileiro
https://www.lance.co[...]
lance.com.br
2022-10-03
[35]
웹사이트
São Paulo conquista Copa Betano do Brasil 2023
https://www.cbf.com.[...]
Confederação Brasileira de Futebol
2023-09-24
[36]
웹사이트
Dorival Júnior é o novo treinador da Seleção Brasileira
https://www.cbf.com.[...]
CBF.com.br
2024-01-11
[37]
웹사이트
São Paulo acerta contratação de Thiago Carpini como novo técnico
https://www.espn.com[...]
ESPN.com.br
2024-01-11
[38]
웹사이트
Rafael brilha nos pênaltis, São Paulo vence o Palmeiras e é campeão da Supercopa do Brasil
https://www.lance.co[...]
Lance.com.br
2024-02-04
[39]
웹사이트
Symbols of São Paulo FC: Colors
http://www.saopaulof[...]
São Paulo FC: Official Page
[40]
웹사이트
A Camisa do São Paulo FC
https://omantotricol[...]
[41]
웹사이트
Symbols of São Paulo FC: Badge
http://www.saopaulof[...]
São Paulo FC: Official Page
[42]
뉴스
Conheça o significado das estrelas nas camisas dos clubes
https://veja.abril.c[...]
[43]
웹사이트
CNEF - Cadastro Nacional de Estádios de Futebol: São Paulo
https://conteudo.cbf[...]
Brazilian Football Confederation
2016-01-22
[44]
웹사이트
Frederico Antonio Germano Menzen Training Center
http://www.saopaulof[...]
Official Website
[45]
웹사이트
CFA – President Laudo Natel Athlete Formation Center
http://www.saopaulof[...]
Official Website
[46]
웹사이트
SPFC > Equipe > Elenco
http://www.saopaulof[...]
[47]
웹사이트
São Paulo inscreve 48 jogadores na Copa Sul-Americana, com 11 estrangeiros
https://ge.globo.com[...]
2023-04-04
[48]
웹사이트
São Paulo na Copinha: lista tem goleiro que bate faltas e atacante nigeriano
https://ge.globo.com[...]
2022-12-20
[49]
뉴스
Rogerio Ceni: se despide una leyenda
http://204.11.233.10[...]
La Razón
2015-12-14
[50]
웹사이트
Grandes Ídolos
http://www.saopaulof[...]
Site oficial do São Paulo FC
[51]
웹사이트
Memorial São-Paulino
http://www.saopaulof[...]
Site oficial do São Paulo FC
[52]
웹사이트
Richarlyson e Leandro Guerreiro ganham espaço no Caminho dos Ídolos do Morumbi
https://www.arqtrico[...]
Arquibancada Tricolor
2021-11-23
[53]
웹사이트
Ídolos eternos do Tricolor goleiam na final e conquistam a Legends Cup Brasil
http://www.saopaulof[...]
Site oficial do São Paulo FC
[54]
웹사이트
Corinthians x São Paulo
http://futpedia.glob[...]
[55]
웹사이트
São Paulo Futebol Clube - Choque-Rei: 300 jogos de história
http://www.saopaulof[...]
[56]
웹사이트
Esporte - Blog da Redação
http://colunistas.ig[...]
[57]
간행물
São Paulo é Supercampeão Paulista
https://esportes.est[...]
2002-05-30
[58]
뉴스
Flamengo, el equipo más popular de Brasil
https://www.lanacion[...]
LA NACION
2004-10-04
[59]
문서
A História do SPFC
http://www.saopaulof[...]
SÃO PAULO F.C.
[60]
블로그
Associação Atlética das Palmeiras
http://gplaca.blogsp[...]
GOL DE PLACA
2018-10-12
[61]
문서
2002年の1回のみ開催された大会。
[62]
문서
2023年終了時点で、他にCRフラメンゴのみ。
[63]
문서
サントスFC(1962年、1963年に優勝)と同数。
[64]
문서
優勝回数(3回)はパルメイラス、サントスFC、グレミオ、CRフラメンゴと同数。準優勝回数(3回)はパルメイラスと同数。
[65]
뉴스
Você Sabia? Escudo do São Paulo é um coração de cinco pontas
https://www.gazetaes[...]
Gazeta Esportiva
2020-05-14
[66]
문서
Símbolos
http://www.saopaulof[...]
SÃO PAULO F.C.
[67]
포럼
As 5 estrelas na camisa do São Paulo
https://www.spfc.net[...]
SPFC.NET
2015-04-26
[68]
문서
2002年は、トルネイオ・リオ=サンパウロ(Torneio Rio–São Paulo)に参加するためカンピオナート・パウリスタには参加せず、大会後、カンピオナート・パウリスタの優勝クラブとスーペルカンピオナート・パウリスタ(Supercampeonato Paulista)を戦い、これを制した。
[69]
웹인용
Papões de títulos, Inter e São Paulo são os campeões de vender craques
http://globoesporte.[...]
globoesporte.com
2015-07-21
[70]
웹인용
Tricolor confirma acordo milionário e apresenta nova camisa no dia 17
http://globoesporte.[...]
globoesporte.com
2015-07-21
[71]
웹인용
São Paulo revela acordo recorde com Penalty por três anos
http://br.esporteint[...]
Yahoo Esportes
2015-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